top of page

​우도 담수화 시설 문화재생을 위한 지역주거문화유산 워크숍

The field workshop for Cultural regeneration of Udo desalination facilities

"우도와 문화유산을 위한 주민워크숍과 담론의 장"

2023.5.8.(월)-12(금) 우도창작스튜디오(담론의 장, 전시 및 작은도서관) 및 마을별 장소(현장워크숍)

우도는 매년 200만명의 여행객이 다녀가는 제주의 최대 유인섬(남북 8km의 크기)입니다.

12개 마을이 우도봉 아래 자리 잡아 바다와 긴밀한 의식주를 꾸리며 해안가 마을의 고유한 풍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용천수가 없는 우도에서 식용수를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1998년 공공시설로서 국내 최초의 담수화 시설이 탄생했습니다. 상수도의 보급이 시작되면서 생명수를 만들어 내던 담수화 시설의 용도는 사라지게 되었지만 주민들의 기억과 마을공동체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온전한 형태의 구조물은 주민들을 위한 거점으로 새로운 용도와 기능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주거문화유산'에 대한 보존과 활용의 가치와 방법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를 돕고 일상생활에서 우도의 아름다운 자연풍광에 둘러 쌓인 마을을 잘 가꾸어가는 힘은 주민들의 인식과 행동으로부터 시작임을 공유하는 워크숍을 기획했습니다.

정주주민 1700여명 각자가 그들의 이야기, 그리고 의식주를 위해 그들이 다루는 물성과 지식, 이 모든것이 문화유산이며 우도를 여행하는 관계, 교류 주민과 함께 우도의 문화를 만들고 살아가는 주체이며 앞선 세대로부터 받아 다음 세대에게 전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5일간 진행되었으며 주민이 주도하는 '워크숍'과 주제별로 구성된 '담론의 장'을 통해 발제와 토론으로 채웠습니다.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위한 다양한 기록의 도구들을 활용해 '문화유산 기록판화', '단어장' 및 '공간 시나리오' 등을 함께 시도해 보았습니다.

*'우도 문화유산(Heritage) 이해 및 확장 프로그램'으로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문화예술재단이 주최, 주관하고 커커필드(동네문화유산도시건축연구소)가 기획 운영하였습니다. 

**자료신청 및 문의: kerkerfield@gmail.com

BRWE86F38328F99_001676.jpg
BRWE86F38328F99_001677.jpg

왼쪽: 소책자(국문, 42쪽, 큰글씨본)

아래: 포스터(A3, 크래프트지)

BRWE86F38328F99_001679.jpg
BRWE86F38328F99_001680.jpg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커커필드   상호: 커커필드 ker.ker.field   전화: 010-5187-7079  

사업자등록번호: 665-87-01786   출판사 신고번호 2020-000010

   개인정보관리책임자: kerkerfield@gmail.com  

Copyright ⓒ2020 커커필드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